내 제품과 구글 AI로 놀라운 광고 영상 만드는 법 (AI, 자동화 완전 가이드)

안녕하세요, 인공지능 한이룸입니다. 이번 글은 유튜브 영상 “내 제품과 구글 AI로 놀라운 광고 영상 만드는 법 (GPTs 무료 제공)”을 바탕으로, 실무에서 바로 쓸 수 있도록 정리한 상세 가이드입니다. 저는 이 글에서 구글의 비디오 생성 모델(Veo)과 제이슨(JSON) 프롬프트, GPTs를 활용해 어떻게 AI, 자동화 마케팅을 설계하고 실행하는지 단계별로 설명드리겠습니다.

Table of Contents

목차

글의 개요: 무엇을 배우게 될까요?

  • 요즘 동영상 트렌드와 왜 AI, 자동화가 핵심인지
  • JSON 포맷 프롬프트란 무엇이고 왜 중요한지
  • 구글 제미나이(Gemini)와 Flow를 활용한 실전 워크플로우
  • GPTs로 JSON 프롬프트 자동화하는 방법
  • 제품 후기(리뷰)를 분석해 영상 아이디어로 전환하는 실제 예제
  • 에셋(제품 이미지)을 넣어 실제 제품 중심의 영상 만드는 법
  • 실무 팁: 크레딧, 모드(Fast vs Quality), 품질 관리, 사운드 후처리
  • 자주 묻는 질문(FAQ)

이 글은 영상에서 다룬 모든 내용을 충실히 재구성하고, 추가적인 실무 팁과 체크리스트를 덧붙였습니다. 목표는 단 하나, 여러분의 이커머스(상세페이지·브랜딩)에 바로 적용 가능한 ‘AI, 자동화’ 워크플로우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제미나이와 Flow의 차이를 설명하는 화면 캡처

1. 트렌드 이해: 왜 지금 ‘AI, 자동화’로 동영상을 만들어야 하나?

최근 유튜브 쇼츠와 SNS에서 눈에 띄는 콘텐츠는 단순한 편집을 넘어서 “AI로 창의적인 장면을 만들어낸 동영상”입니다. 예를 들어 고양이가 트램폴린에서 뛰는 장면, 가상의 밤 카메라(나이트 비전)로 촬영한 듯한 동물 행동 등은 적은 비용으로도 큰 임팩트를 만듭니다. 이 모든 것을 가능케 하는 핵심은 바로 “AI, 자동화”입니다.

핵심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비용 절감: 전통적인 CG나 촬영 대비 비용과 시간 대폭 절감
  2. 아이디어 반복 실험: 빠르게 여러 아이디어를 테스트할 수 있음
  3. 브랜딩 확장: 고비용 촬영이 어려운 브랜드도 고퀄리티 영상을 제작 가능
  4. 데이터 기반: 사용자 후기, 제품 특성 등을 자동으로 반영해 최적화된 아이디어를 생성

결국 ‘AI, 자동화’는 제작의 민주화와 실험의 속도를 동시에 제공합니다. 특히 구글의 Veo(영상 생성 모델)는 음성·텍스트·이미지를 통합해 자연스러운 영상 결과물을 빠르게 만들어 주기 때문에 지금 흐름을 쫓아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2. JSON 포맷 프롬프트: 왜 쓰고, 어떻게 쓰나?

많은 크리에이터와 마케터가 텍스트 프롬프트로 이미지를 만들다가 JSON 포맷을 활용하면 결과가 훨씬 안정적이고 예측 가능해진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JSON 포맷은 단순 명령어보다 구조화된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모델이 장면 구성(씬), 카메라 무빙, 색감, 오브젝트 디테일 등을 더 정확히 해석합니다.

예시(개념):

  • scene: “night vision CCTV style”
  • subjects: [{“type”:”cat”,”action”:”riding turtle”,”position”:”center”}]
  • camera: {“lens”:”telephoto”,”movement”:”pan”,”angle”:”low”}

영상에서 한이룸님이 강조한 요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1. JSON 포맷으로 프롬프트를 만들면 결과의 일관성이 올라감
  2. 트위터 등에서 공유되는 샘플들을 모아두면 재사용성이 높음
  3. 그러나 JSON을 직접 작성하는 건 번거로움 — 그래서 자동화해야 함

JSON 프롬프트 예시 화면

3. 실무 툴 비교: Gemini(제미나이) vs Flow vs Veo

영상에서 소개된 주요 툴은 다음과 같습니다:

  • Gemini (제미나이): 무료로 Veo(비디오) 모델을 사용할 수 있는 창구. 하루 3개 제한. 한국어 입력 지원. 개인 사진을 업로드해 장면을 생성할 수 있다는 장점.
  • Flow: Gemini의 유료 프로 기능을 연동해 더 많은 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환경. 더 많은 크레딧을 쓰고 실험을 빠르게 진행할 수 있음.
  • Veo: 구글의 영상 생성 엔진. Veo 2 / Veo 3(영상에서 ‘Veo 삼’으로 언급)은 품질과 기능 차이가 있음. 최신 버전이 나올수록 장면 인식, 색감 재현, 디테일이 좋아짐.

실무 제안:

  1. 처음엔 Gemini로 빠르게 실험(하루 3개로 아이디어 검증)
  2. 확장 시 Flow + Gemini Pro(유료)로 전환해 대량 실험
  3. 고해상도, 제품 샷에선 Veo 고품질 모드(혹은 다음 버전) 사용 고려

Gemini 무료 제한과 Flow 유료 옵션 안내 화면

4. GPTs로 JSON 프롬프트 자동화하기 — ‘프롬프트 마법사’ 만들기

여기서 핵심은 ‘JSON 포맷 작성을 자동화’하는 것입니다. 영상에서는 한이룸님이 GPTs(커스텀 GPT)를 만들어 JSON 프롬프트 생성기를 운영하는 과정을 보여주셨습니다. 방법은 간단합니다.

  1. 여러 JSON 샘플(브랜드별, 씬별)을 수집해 PDF로 정리
  2. GPTs에 그 PDF를 업로드해 ‘이 샘플과 유사한 JSON을 분석·생성’하도록 학습시킴
  3. 사용자는 제품명이나 간단한 설명만 넣으면 GPTs가 바로 JSON 프롬프트를 출력

장점:

  • 프롬프트 생성의 반복 작업을 자동화 — 시간 절약
  • 팀간 공유가 용이 — 같은 GPTs를 공유하면 일관된 프롬프트 생산
  • 파일 첨부(제품 이미지, 후기 데이터)를 바로 분석해 맞춤형 프롬프트 생성

실전 팁: 한이룸님은 다양한 브랜드(예: 코카콜라, 아디다스) 프롬프트를 테스트한 뒤 잘 작동한 샘플만 모아 GPTs를 구성했습니다. 이렇게 하면 새로운 제품에 바로 적용 가능한 템플릿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GPTs에 PDF 샘플 업로드하는 장면

GPTs 구성 예시 — 단계별

  1. 샘플 수집: 트위터, 레퍼런스, 자신이 테스트한 JSON 모음 수집
  2. 분석 규칙 설정: 씬, 카메라, 색감, 텍스트 오버레이, 타이밍 등 키 항목 정의
  3. 파일 업로드: PDF나 CSV로 샘플 업로드
  4. 명령어 구성: “이 제품(또는 후기)을 분석해 JSON 포맷의 Veo 프롬프트 3개 생성” 같은 문장
  5. 출력값 검토 및 미세조정: 생성된 JSON을 Flow 또는 Gemini에 넣어 테스트

5. 후기(리뷰) 기반 아이디어 자동화 — 데이터로부터 창의성 얻기

가장 실무에서 유용한 팁 중 하나는 ‘사용자 후기(리뷰)를 프롬프트 아이디어로 전환’하는 방법입니다. 한이룸님은 후기 파일을 GPTs에 넣어 “후기를 분석해 영상 아이디어(프롬프트) 3개를 만들어 달라”고 요청했습니다. 이 과정이 주는 장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고객이 실제로 공감하는 포인트(향, 사용감, 가성비 등)를 자동으로 추출
  • 감성적 언어를 영상으로 변환 — 고객의 언어로 광고 메시지를 구성
  • 제품마다 테스트할 수 있는 다양한 컨셉을 데이터 기반으로 확보

예시: 한 남성 스킨케어 제품에 대한 후기 1,367건을 넣자 GPTs는 다음과 같은 프롬프트 아이디어 3개를 생성했습니다.

  1. 은은한 향을 표현한 숲속 컨셉
  2. 촉촉하지만 끈적이지 않는 사용감을 표현한 물방울→피부광 표현 컨셉
  3. 넉넉한 용량과 가성비를 표현한 ‘용기 → 폭포’ 시각적 메타포

후기 데이터를 업로드하고 분석하는 과정 스크린샷

이 아이디어들을 그대로 Flow에 넣어 테스트하면 빠르게 비주얼 아웃풋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중요한 점은 ‘한 번에 완벽한 결과’를 기대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번의 시도(테스트)로 최적점을 찾아가는 것입니다. 이는 마치 코드 디버깅과 매우 닮아 있습니다.

6. 제품 이미지(에셋)를 넣어 ‘내 상품’ 중심 영상 만들기

단순한 컨셉 영상은 브랜드 인지도에는 좋지만, 진짜 판매 전환을 얻으려면 내 제품을 자연스럽게 녹여내야 합니다.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Flow에서 ‘텍스트 → 동영상 변환’ 대신 ‘에셋으로 동영상 만들기’를 선택
  2. 하단의 ‘+’ 버튼으로 제품 이미지를 업로드
  3. 프롬프트(또는 GPTs가 생성한 JSON)를 넣어 제품을 반영하도록 지시
  4. Veo 2(Veo)의 에셋 기반 생성은 현재 보이스·사운드를 포함하지 않습니다 — 사운드는 별도 후처리 필요

영상에서 한이룸님은 ‘홀츠포맨’ 제품 사진을 캡처해 업로드하고, 여러 컨셉으로 변환해 매우 자연스러운 결과물을 얻었습니다. 특이점은 원본 이미지가 캡쳐 수준의 저해상도였음에도 불구하고 제품의 형태나 라벨을 잘 반영하여 브랜드성 있는 영상이 만들어졌다는 점입니다.

제품 이미지를 업로드해 에셋 기반 영상 생성하는 화면

실무 체크리스트:

  • 원본 이미지 품질이 좋을수록 디테일 표현이 좋아짐
  • 제품 명/라벨/주요 텍스트는 별도 설명 텍스트로 추가하면 모델이 인식에 유리
  • 사운드는 Veo에서 지원되지 않을 경우 오디오 편집기로 후가공

7. 모드, 크레딧, 비용 관리를 이해하자

Flow/Gemini/Veo를 사용할 때 비용(크레딧)과 모드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한이룸님이 설명한 기본 원칙은 다음과 같습니다.

  • Fast 모드: 빠르게 결과 확인 가능. 해상도는 720~1080 수준, 크레딧 소모는 상대적으로 적음(예: 10크레딧). 테스트 단계에서 추천.
  • Quality 모드: 완성도 높은 영상. 크레딧 소모 큼(예: 100크레딧). 최종본 제작 시 사용.
  • 한 달 프로 구독 시 초기 크레딧(예: 1,000크레딧) 제공 — 이를 활용해 대량 실험 가능

전략 제안:

쇼핑몰 운영비를 99% 줄여드립니다

처음만나는 쇼핑몰 AI 자동화 과정 선착순 3명 할인

AI 자동화학과 입학신청하기
  1. 아이디어 검증: Fast 모드로 10~20개 시도
  2. 우수 컨셉 선정: 상위 2~3개를 Quality 모드로 업그레이드
  3. 최종본 편집: 사운드, 텍스트 오버레이, 제품 CTA 삽입

8. 창의적 예시: 나이트 카메라, 동물 트램폴린, 고양이+거북이 씬

영상에서 가장 재미있었던 사례는 ‘나이트 비전 CCTV’ 스타일의 장면과 ‘고양이가 거북이를 타고 풀장을 건너는’ 장면입니다. 이처럼 초현실적이고 시선을 끄는 연출은 특히 SNS에서 바이럴 가능성이 큽니다. 핵심은 다음입니다.

  • 장면 디테일을 초 단위로 설계(프레임별 디렉션 포함)
  • 카메라 렌즈, 앵글, 노이즈 특성 등까지 JSON에 명시
  • 제품을 자연스럽게 끼워 넣기 (예: 거북이 등 위에 상품 로고나 작은 소품 배치)

나이트 비전 CCTV 스타일 프롬프트 예시 화면

이러한 연출은 브랜드 메시지를 희화화하거나 과장하는 대신 ‘재미’와 ‘공감’을 중심으로 하면 좋습니다. 특히 쇼츠 플랫폼에서는 짧고 강렬한 한 장면이 잘 먹습니다.

9. 사운드와 후처리: 영상 완성도를 높이는 방법

Veo(특히 에셋 기반 생성)는 현재 사운드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오디오 작업은 별도의 워크플로우로 진행해야 합니다.

  1. 영상 출력(무사운드)
  2. 오디오 에셋 선정: 효과음, BGM, 나레이션
  3. 간단한 편집: 컷에 맞춰 SFX 배치, VO(Voice Over) 추가
  4. 최종 렌더링 및 플랫폼별 포맷 변환

팁: 상세페이지용 배너형 영상은 무사운드로도 충분한 경우가 많습니다. 반면 SNS용 숏츠는 사운드가 핵심이므로 후처리에서 창의적인 사운드 디자인을 넣어야 합니다.

10. 실제 캠페인 적용 예시: 스텝 바이 스텝

여기서는 ‘후기 기반 영상 캠페인’을 예시로 실제 적용 가능한 스텝을 제시합니다.

  1. 데이터 수집: 최근 1년간 고객 후기 1,000건 수집
  2. GPTs에 업로드: “후기를 분석해 영상 컨셉 5개, JSON 프롬프트 5개 생성해줘”
  3. 우선순위 선정: 예상 전환(매출), 브랜드 일치도, 제작비용을 기준으로 상위 3개 선정
  4. Flow에서 Fast 모드로 3가지 컨셉 파일럿 생성
  5. 성능 테스트: 1주일간 A/B 테스트(CTR, 체류시간, 전환율 측정)
  6. 최적화: 상위 1개를 Quality 모드로 재생성, 사운드 및 텍스트 오버레이 추가
  7. 롤아웃: 상세페이지·광고 플랫폼에 적용, 리타겟팅 소재로 활용

후기 기반으로 생성된 세 가지 컨셉을 비교하는 화면

이 프로세스를 통해 데이터 기반으로 아이디어를 만들고, 빠르게 테스트하고, 검증된 창작물을 고품질로 전환할 수 있습니다. 핵심은 반복과 측정입니다.

11. 성공 확률을 높이는 실무 팁

  • 프롬프트 템플릿화: 브랜드별, 제품군별 템플릿을 만들어 두면 시간 절약
  • 이미지 메타데이터 활용: 제품 사진에 이름·칼라·텍스트를 같이 넣어 모델 인식률 향상
  • 버전 관리: JSON 프롬프트는 버전별로 기록해 두기(어떤 파라미터가 효과적이었는지 추적)
  • 크레딧 분배: 테스트 → 품질 업그레이드 단계별 예산 배분
  • 팀 공유: GPTs는 팀과 쉽게 공유할 수 있어 SOP(Standard Operating Procedure)에 통합

12. 한이룸이 제공하는 리소스와 수업 안내

한이룸님은 AI 이미지 교육 과정을 준비 중이라고 영상에서 밝혔습니다. 핵심 포인트는 이커머스에 최적화된 이미지·동영상 제작 노하우를 전수하는 것입니다. 과정에는 다음 내용이 포함됩니다.

  • 이미지 생성 툴(Midjourney, ImageFX 등) 활용법
  • 내 상품과 모델 합성(고퀄리티) 기법
  • 컴포지팅(Composite) 실무
  • Veo 기반 동영상 제작 올인원 과정
  • SOP와 실무 템플릿 제공

실무자라면 이런 체계적인 교육을 통해 빠르게 역량을 끌어올릴 수 있습니다. 한이룸님은 실행 중심의 강의로 높은 만족도를 보장한다고 밝혔습니다.

13. 자주 묻는 질문(FAQ)

Q1: JSON 포맷을 직접 작성하기 어려워요. 그래도 시작할 수 있나요?

A: 네. 처음엔 제미나이에서 간단한 한글 텍스트로 실험하고, 잘 되는 프롬프트를 모아 GPTs에 학습시키세요. 그렇게 템플릿을 만들면 직접 작성할 필요가 거의 없어집니다. 즉, GPTs로 ‘AI, 자동화’된 JSON 생성기를 만드는 것이 핵심입니다.

Q2: Veo로 만든 영상에 저작권 문제는 없나요?

A: 생성된 콘텐츠의 저작권 문제는 사용하시는 플랫폼의 정책과 모델 이용약관에 따라 달라집니다. 상업적 사용 전에는 각 서비스의 약관을 꼭 확인하세요. 일반적으로 상업적 사용이 허용되는 경우가 많지만, 브랜드 로고·저작권 있는 이미지 사용 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Q3: 음성(나레이션)과 사운드는 어떻게 넣나요?

A: Veo에서 사운드를 지원하지 않거나 제한적이라면, 무사운드 영상 출력 후 외부 오디오 편집기(예: Premiere, DaVinci Resolve)나 간단한 모바일 앱으로 사운드를 추가하세요. 쇼츠용은 음악·SFX가 매우 중요합니다.

Q4: 크레딧은 얼마나 필요할까요?

A: 테스트 단계에선 Fast 모드로 10~50크레딧으로 여러 실험이 가능합니다. 품질본은 100크레딧 이상 소모될 수 있으니, 초기 프로모션 크레딧을 확보한 뒤 단계적으로 사용하세요.

Q5: JSON 프롬프트 샘플을 받을 수 있나요?

A: 영상 설명과 한이룸님이 제공한 링크(영상에 명시된)에서 샘플을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GPTs로 자동 생성하도록 설정하면 브랜드별로 맞춤 샘플을 즉시 출력할 수 있습니다.

14. 체크리스트: 프로젝트 시작 전 확인 항목

  • 테스트용 제품 사진 3장 이상 확보
  • 후기 데이터(50~1,000건) 준비 — 파일 CSV 또는 텍스트
  • Gemini 계정(무료) 생성 및 Flow 접근 권한 확인
  • GPTs용 샘플 JSON 10개 이상 수집(템플릿화)
  • 예산(크레딧) 분배: 테스트용 200~300크레딧, 품질용 300~1,000크레딧
  • 영상 목적 정의: 상세페이지용/광고용/브랜딩용(각 목적에 따라 편집 방식 다름)

15. 마지막으로 — 제가 추천하는 첫 번째 7일 플랜

  1. Day 1: Gemini에서 3개 컨셉 테스트(짧고 단순한 프롬프트)
  2. Day 2: 후기 200건 수집 후 GPTs에 업로드, 프롬프트 3개 생성
  3. Day 3: Flow에서 Fast 모드로 3개 컨셉 생성 및 결과 비교
  4. Day 4: 상위 1개 컨셉을 Quality로 업그레이드 후 사운드 기획
  5. Day 5: 오디오 후처리 및 텍스트 오버레이(CTA) 삽입
  6. Day 6: A/B 테스트용 광고 캠페인 세팅 (SNS/유튜브 숏츠)
  7. Day 7: 데이터(CTR, 뷰타임, 전환)로 최적화 방향 결정

이 플랜만 따라도 일주일 안에 제품 기반의 실전용 영상 소재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 핵심은 빠르게 시도하고, 측정하고, 개선하는 것입니다. 이 모든 과정이 바로 ‘AI, 자동화’로 가능해졌습니다.

나이트 비전 스타일로 제품을 연출한 완성 영상 화면

요약 — 핵심 정리

  • JSON 포맷 프롬프트는 영상 결과의 일관성과 재현성을 높인다.
  • Gemini(무료)와 Flow(프로)를 조합해 실험 속도와 규모를 조절하라.
  • GPTs로 JSON 생성 과정을 자동화하면 시간과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 후기(리뷰)를 데이터로 변환하면 고객 공감형 아이디어를 쉽게 얻을 수 있다.
  • 제품 이미지를 업로드하면 브랜드 중심의 영상 제작이 가능하다. 단, 사운드는 별도 후처리 필요.
  • 테스트(Fast) → 품질(Quality) 단계의 워크플로우로 크레딧을 효율적으로 운용하라.

이 글은 영상의 모든 핵심 내용을 재구성하고, 실무에 바로 적용 가능한 체크리스트와 플랜을 더해 만든 가이드입니다. 더 많은 샘플 JSON, GPTs 템플릿, 그리고 한이룸님의 강의 정보는 영상 설명과 제공 링크를 참고하세요. 이제 여러분 차례입니다. 작은 실험부터 시작해 보세요 — AI, 자동화는 연습할수록 무기가 됩니다.

관련 자료 및 다음 단계

  • 영상의 원본과 제공된 GPTs 템플릿을 확인하세요.
  • 첫 실험으로 ‘후기 기반 숲속 컨셉’을 Fast 모드로 만들어 테스트해 보세요.
  • 결과를 팀과 공유하고 SOP로 정리하면 다음 캠페인 속도가 급격히 빨라집니다.

부록 — 제작 시 자주 발생하는 문제와 해결법

문제: 제품이 제대로 인식되지 않음

해결법: 제품 사진에 라벨·텍스트를 추가하거나, 프롬프트에 “label: ‘HOLTSFORMAN’을 포함”처럼 명시적으로 지시하세요.

문제: 결과물이 너무 ‘비현실적’임

해결법: JSON에서 스타일 파라미터(예: realism: high, color_grading: natural)를 넣어 현실감을 높이세요.

문제: 나이트 비전 등 특정 스타일이 잘 안나옴

해결법: 스타일 관련 참조 이미지를 첨부하거나, prompt에 ‘night_vision LUT: 619’처럼 구체적인 레퍼런스 값을 넣어 주세요.

FAQ 요약

  • JSON 직접 작성이 어렵다면 GPTs에 맡기세요.
  • 상업적 사용은 서비스 약관 확인 필수입니다.
  • 사운드는 별도 후처리로 해결하세요.
  • 초기 크레딧 배분을 명확히 하세요(Fast vs Quality).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더 구체적인 예제나 JSON 샘플이 필요하시면 댓글로 요청 주세요. 영상과 함께 실습하시면 이해가 훨씬 빠릅니다. 다음 글에서는 실제 JSON 샘플을 활용한 단계별 튜토리얼을 준비하겠습니다. — 인공지능 한이룸

 

Leave a Comment